지식 도서관
명리학의 핵심인 격국 1 본문
격국은 용신과 더불어 명리학에서 가장 핵심을 이론이다. 격국은 사회활동의 모습을 보여주는 명함이라 할 수 있다. 격국은 사주의 형식과 틀로서 격국을 통해서 사주 그릇의 크기와 용도, 역할의 역량을 가늠할 수 있다. 격국의 성패(成敗)는 사주의 질량(質量)과 고저(高低)를 나타내는 중요한 부분이다. 직업적인 성향이나 성격, 특성, 특기, 적성 등의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자신의 직함, 신분 등의 타고난 그릇이고 개인의 운명적 지향점이고, 자신의 인격을 나타낸다.
서자평은 명통부(明通賦)에서 최초로 월령을 위주로 격국을 정하고 사주 전체의 기세(氣勢)를 살펴서 격국을 정하는 법을 제시했다. 명통부의 격국 인식은 이후에도 큰 변화 없이 서자승의 연해자평(淵海子平)으로 이어졌고, 장남의 명리정종(命理正宗)은 월령에서 투출한 천간을 보다 중시하는 관점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진소암의 명리약언(命理約言)은 오행의 생극제화 이치에 어긋나는 잡격(雜格)을 완전히 배제하였다.” 심효첨의 자평진전(子平眞詮)에서는 격국을 “월지(月支)에 따라 분류하였고 사길신과 사흉신으로 격국을 나누고 정관격, 재격, 인수격, 식신격, 상관격, 편관격, 양인(陽刃)격, 건록월겁(建祿月劫)격의 팔격으로 구분하였으며 팔자(八字)의 용신(用神)은 오로지 월령(月令)에서만 구하였다.” 임철초의 적천수천미(適天髓闡微)에서는 종격에 대해 실증적이고 논리적인 설명을 펼쳤고, “월령을 보고, 천간에 어떤 오행이 투출하였나를 살펴서 격으로 정한다 하였고, 월지에서 천간에 투간(透干)한 격이 진격이라 하였고 정관격, 편관격, 정재격, 편재격, 정인격, 편인격, 식신격, 상관격으로 구분하였다.” 진소암의 정선명리약언(精選命理約言)에서는 “사주(四柱)를 나열해 놓고 우선 일간(日干)이 어떠한 오행(五行)인가를 살펴보고, 다시 월지(月支)가 나를 생(生)하는지 극(剋)하는지, 내가 생(生) 하는지 내가 극(剋)하는지를 살펴본다. 만약 월지의 본기(本氣)가 천간에 透하여 寅에서 甲木이 투출하였거나, 午에서 丁火가 투출하였으면 격(格)을 취하되, 정관(正官)이나 식신(食神)이나 편재(偏財)나 편인(偏印)에 속하면 마땅히 생조(生助)하고, 편관(偏官)이나 상관(傷官)이면 마땅히 제화(制化)시켜야 한다. 본기가 만약 투출하지 않고 극제를 만났으면 寅에서 甲木을 취하지 않고 소장한 丙火나 戊土를 취하며, 午에서 丁火를 취하지 않고 소장한 己土를 취한다. 만약 소장지신(所藏之神)도 투(透)하지 않고 극(剋)를 만났으면 월지를 취하지 않고, 다른 간지에서 세력이 왕성한 것을 취하여 격(格)을 취한다.”고 하였다.
격국 이론은 변천 과정을 거쳐서 지금은 십정격을 활용하고 있다. 십정격은 비견격, 겁재격, 식신격, 상관격, 편재격, 정재격, 편관격, 정관격, 편인격, 정인격으로 나눈다. 또한, 음양을 구분하지 않고 비겁격, 식상격, 재성격, 관성격, 인수격으로 나누기도 한다. 명리학에서 격국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한 이론이 있지만, 현대 명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월지(月支)를 중심으로 사주 전체에서 가장 강한 기운과 세력의 육신으로 격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하나, 월지의 지장간 중에서 투간(透干)한 천간을 일간과 대비하여 무슨 십성인가를 파악하여 그 육신의 이름으로 격을 정한다. 둘, 월지의 지장간 중에서 정기(正氣)가 투간하면 가장 먼저 격으로 정한다. 셋, 정기가 투간하지 않고 여기(餘氣)나 중기(中氣)가 투간한 경우에는 그 투간한 천간의 육신으로 격을 정한다. 여기와 중기가 같이 투간했을 때는 사령한 것, 기세가 강한 것으로 격을 정한다. 辰月에 乙, 癸가 모두 투간하였으면 木이 강한 계절이므로 乙로 격을 정한다. 넷, 戊, 己일간을 제외하고는 비견과 겁재는 격으로 정하지 않고 건록(建祿)격과 양인(陽刃)격으로 정한다. 다섯, 子午卯酉월은 정기가 투간되지 않아도 격으로 정한다. 여섯, 辰戌丑未월에서 지장간 오행이 천간에 투간하지 않았으면, 월령의 본기로 격을 정한다. 단, 지장간의 같은 오행이 투간했다면 육신으로 격을 정하고 지장간과 다른 오행이 투간하고 강한 세력을 이루고 있다면 그 강한 육신으로 격을 정한다. 예를 들면 未월의 지장간이 모두 투간하지 않았는데, 丙火가 투간했다면 丁火 대신 丙火로 격을 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