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도서관
해외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들 본문
해외의 연구에서 먼저 직무만족(Job satisfaction)은 R. Hoppock에 의해 이루어졌고, “직업만족도는 정서적 적응, 종교, 사회적 지위, 관심, 연령, 피로, 지역 사회 규모 및 기타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P. J. David는 병원 간호사 327명을 대상으로 조직 의사소통에 대한 지각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 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의사소통 만족도와 직무성과 사이에 유의 한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T. A. Judge & S. Watanabe는 직업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는 수년 동안 집중적으로 연구되었어도 관계의 인과적 성격을 입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일과 삶의 만족도 사이의 횡적(cross-sectional) 및 종적 영향(longitudinal effects)을 동시에 고려하는 인과 모델을 가정하고 검증하였다. 횡적 결과는 직업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 상대적으로 강한 관계를 시사하지만, 종적 결과는 특히 직업 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5년 동안 약한 관계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리고 직무효능감 (Job Efficacy)에 관한 연구로서 J. C. Mc Closkey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직무 효능감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 교육 기간, 인증 및 평생교육 시간이 길수록, 간호사의 나이가 많을수록 직무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edrazza 등은 사회복지사의 효능감을 자신이 직장에서 성공적인 업무성과를 달성을 위한 행동 과정을 구성하고, 개인의 행동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직무 상황에서 새롭게 업무를 시작하거나 복잡한 상황에서의 불안감, 무력감, 부담감 등을 관리하는 내용을 포함한 감정조절 요인 4문항, 고객에 대한 의무를 다하며, 개인 판단을 자제하고, 실패 상황에 직면했을 때 목표를 재설정하여 다시 시도하는 내용을 포함한 절차 관리 효능감 요인 5문항, 동료나 다른 분야 종사자에게 지원 요청을 포함한 3문항,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업무수행에서 사회복지사의 감정조절을 한 요인으로 구성하여 개인 성격특성을 강조하였다.
J. E. Mathie 등은 직업에 대한 태도와 진로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연구를 고교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 효능감은 정서적 조직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목표 설정이 분명해서, 높은 직무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는 경력 몰입과 경력 완성을 위해 조직에 더 몰입하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Job stress)에 관한 연구로서 J. C. Quick 등은 직무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인간관계, 역할 요구, 물리적 요구, 과업적 요구라고 제시하였다. 특히 인간관계의 하부 요인으로는 동료, 상사, 하급자의 관계이고, 역할 요구의 하부 요인으로는 역할의 모호성과 갈등, 물리적 요구의 하부 요인은 온도, 소음 등의 사무실 환경, 과업적 요구의 하부 요인으로 경력개발, 직무 과부하, 직무 불안 등으로 분류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동기부여, 이직, 생산성, 조직몰입, 직무만족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조직의 입장에서 스트레스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갖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R. M. Yerkes 등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 업적의 관계 연구에서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는 조직 성과를 저하시키지만, 적절한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필요하다고 역설하였다.
D. F. Paker 등은 직무수행자가 직무를 수행하면서 부정적인 조건이나 갑작스러운 변화로 역기능적인 감정, 이탈하고 싶은 감정으로 정의하였다. 직무스트레스의 구성요소를 직무 자체, 조직의 특성, 역할 모호성, 역할 갈등, 직장 내 대인관계, 경력개발 그리고 외부조직에 대한 헌신감 등으로 설명하였다. C. L. Cooper 등은 조직에서 양적·질적 직무의 과부하, 직무특성으로 인한 역할 모호성과 갈등, 조직에서의 역할, 조직 내 인간관계와 조기 승진, 승진 배제, 직무 이전의 결여 등과 같은 경력개발, 조직구조와 조직풍토에서 오는 의사소통의 결여, 소속감, 정체성 상실 등으로 직무스트레스를 설명하였다.